요즘은 스마트폰으로 각종 페이들을 이용해 결제하면서 지갑 없는 시대가 되었고, 그로 인해 신분증도 모바일로 발급받아 실물 신분증과 같은 효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되었습니다. 앞으로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과 같은 모바일 신분증은 실물 카드 없이도 본인 인증과 신원 확인이 가능하여, 은행 업무나 공공기관 방문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모바일 신분증인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은 네이버, 카카오톡, 토스 등에서 발급받을 수 없습니다. 아래의 방법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으면 신분증 없이 외출했다가 가끔 신분증 확인이 필요한 난감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정부 24 앱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발급(무료)

✔ 정부 24 앱 다운로드 후 간편인증 등을 통한 로그인
✔ 앱 메인페이지에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클릭
✔ 주민등록증을 준비(본인명의 개인 휴대폰만 등록 가능)한 후 약관 동의
✔ PASS 앱을 통해 본인 핸드폰 명의 인증
✔ 기본 정보 입력
✔ 비밀번호 6자리 입력 및 생체 인증 추가
📌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발급(유료)
_ 모바일 신분증(주민등록증)을 발급받는 두번째 방법은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 권한 허용 후 본인 인증
✔ 6자리 비밀번호 등록
✔ 생체 인증 등록 후 신청하기
✔ IC주민등록증 or QR 중 선택하여 신청
✔ 등기 수령하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수령
행정안정부에서 안내하는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2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추후 등기 수령이나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IC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후 핸드폰에 다시 태그해야 오프라인에서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이 경우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지니지만, IC 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 발급 비용은 10,000원의 비용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IC주민등록증의 발급은 유료이기도 하고, 직접 수령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어 저는 당분간 정부 24 앱으로 다운받은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추후 이 모바일 신분증만으로 신원 확인에 어려움이 생기면 그 때 유료로 IC주민등록증을 추가 발급받을 생각입니다.
지갑없이도 충분히 생활이 가능한 시대에 신분증도 모바일로 발급받을 수 있어 한층 생활이 더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목돈되는 생활 속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 신청 방법 총정리! 대상, 신청 방법, 기간, 지급 일정 (0) | 2025.04.03 |
---|---|
GS25에서 토스뱅크 카드 없이, 수수료 없이 현금 인출하는 방법 (ATM 사용법) (0) | 2025.03.19 |
국민카드 애플페이 도입 임박! 아이폰 결제에 대한 기대감 상승 (0) | 2025.03.19 |
하루 8,000보 걷고 돈 받자!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사용법, 리워드, 한도 (0) | 2025.03.17 |